강릉시는 2026년 ITS세계대회 준비를 위해 지난22년 6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받은 지 7개월만인 '23년 1월 6일 자율주행차량 5대로 시범운행 시승행사를 개최했다.
하지만, 지난 1월 6일 시범운행 시승식 행사를 개최하는 첫날부터 일부 자율차의 고장으로 시범운행에 차질을 빚는 등 시작부터 차량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시범운행 중에도 차량 예약앱의 문제로 차량이 승객 탑승운행 중에는 사전예약이 안되는 등 시스템에도 UI/UX가 고려되지 않아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했다.
급기야, 3월 7일에는 자율주행으로 운행 중이던 차량이 화물차를 들이받아 부상자가 발생하는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여 사고조사 중에 있다.
이처럼, 아직도 미완의 기술인 자율주행 차량을 보여주기식 행정에 급급한 나머지 복잡한 시내도로를 주행케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운행하고 있어 자율주행 시범지구 지정도 심각한 오류가 있어 보인다.
자율주행 시범지구 지정이 어떤 안전 요건을 가지는지? 각각의 지정요소에 대한 과학적 요인분석은 이뤄지는 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정작 자율주행이 필요한 곳은 차량통행이 적고, 한적한 농어촌 지역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시골지역은 대중교통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아 교통복지 사각 지대이다. 운전기사도 인구감소와 주52시간제로 인해 구하기 어렵다. 즉, 운전기사가 없는 자율주행이 절실한 지역인 것이다.
하지만, 인구감소로 인해 대중교통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시골지역을 우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해 보임에도 불구하고, 국토부의 아집인지, 정치적 야합인지, 도시 위주의 시범지구 지정은 역시 잘 못된 정책이 아닐런지.
이러한, 정책을 미루어 짐작할 때, 정부에서 추진 중인 1조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된 "자율주행 예타사업"에 대한 결과도 용두사미가 예상되는 이유이다.
< 모빌리티투데이ⓒ 편집국 >
Comments